솔루스첨단소재, ‘하이엔드’ 전지박 기술력 입증.. 유럽 ACC로부터 단독 승인 단계

        20250926
        - 배터리 경량화 추세에 따라 하이엔드 제품 전환 가속.. 2026년부터 본격 상용화
        - 유럽 내 유일 하이엔드 전지박 제품 승인
        - 제조혁신 고도화·산학협력 등 초격차 소재 개발 확대..기술 리더십 공고화

        솔루스첨단소재의 하이엔드 전지박(전지용 동박)이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사의 승인을 획득하며 업계 최고 수준의 하이엔드 제품 기술 경쟁력과 리더십을 입증했다.

        솔루스첨단소재는 최근 프랑스 배터리사‘ACC(Automotive Cells Company)’로부터 고강도 제품인‘HTS(High Tensile Strength)’ 6(마이크론제품의 단독 승인을 진행 중이다현재 유럽 소재 글로벌 배터리사로부터 하이엔드 제품의 제품 승인을 받은 전지박 기업은 솔루스첨단소재가 유일하다.
         
        유럽 전기차 시장은 올해 들어 수요가 점차 확대되며 많은 완성차 및 배터리사들이 진출을 확대 중이다. 업계의 시선이 쏠린 유럽 시장에서 솔루스첨단소재는 글로벌사들의 엄격한 승인 프로세스를
        모두 통과하며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증명하고 있다이는 솔루스첨단소재가 단순한 소재 공급을 넘어 배터리 산업의 기술 기준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전기차 배터리는 경량화 추세에 따라 고온·고압 등 극한의 환경에서도 성능 저하 없이 안정적으로 기능하는 고강도·극박 등의 하이엔드 전지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이에 따라 기존 두께8㎛ 중심에서 6㎛ 이하 극박화 제품으로 재편되고 있으며이러한 고난도 기술을 안정적으로 양산할 수 있는 전지박 업체는 현재 유럽 내 솔루스첨단소재가 유일하다특히극박 제품의 경우 전기차 배터리의 경량화와 에너지 밀도 향상을 위한 핵심 역할을 하는 소재로 더욱 까다로운 품질과 물성 요건이 요구된다.

        솔루스첨단소재는 배터리 제조사가 요구하는 모든 물성 조건을 충족하여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기업으로고객사가 필요로 하는 모든 물성의 제품을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 역량을 갖추고 있다최소 두께 4최대 강도 70 kgf/연신율 15%의 제품 개발 및 생산이 가능하며, BF(표준) MTS(중강도), 그리고 SR/HTS/HE(고강도·고연신)의 풀 라인업 하이엔드 제품군으로 시장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 중이다

        이러한 하이엔드 제품의 수요는 오는 2026년부터 본격 확대될 전망이다솔루스첨단소재는 내년부터ACC, CATL 등 글로벌 배터리사를 대상으로 하이엔드 제품의 양산 공급이 이뤄질 예정이며하이엔드 제품군의 매출 비중이 점차 증가해 수익성 개선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밖에 차세대 전지박 기술 개발도 지속 확대 중이다솔루스첨단소재는 국내외 전기차관련 업체들과 기술 교류회를 통해 차세대 배터리 소재 공동개발을 추진 중이다헝가리 법인에서는 품질 고도화를 위한 산학협력 프로젝트에도 착수했다이는 단순한 품질 및 생산 안정화를 넘어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제조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솔루스첨단소재 곽근만 대표는하이엔드 전지박 제품들이 실제 고객사의 승인을 얻으며 유럽 배터리 생산 허브 내에서 당사 기술력과 품질 신뢰도가 명확히 검증되고 있다.”라며, “글로벌 시장에서 하이엔드 제품에 대한 기술 리더십을 공고히 하고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페이지 상단 이동